영어로 표를 만들어야 하는데, 막상 만드려고 하니 숫자보다도 각 항목을 영어로 뭐라고 해야할지 헷갈렸던 분들 계시죠? 그런 분들을 위해 오늘 포스팅을 작성했습니다.
▫
(단위: 원)
구분 | 8월실적 | 9월실적 | 9월계획 | 증감율 | 달성율 |
매출 | 5,000 | 5,500 | 5300 | 10% | 104% |
영업이익 | 30 | 37 | 35 | 23% | 106% |
당기순이익 | 10 | 9 | 13 | -10 | 69% |
예시를 들어볼게요. 9월이 끝나고 10월이 되어서, 이제 9월동안의 실적을 분석해보기로 합니다. 실적을 분석할때는 전월과의 비교, 계획과의 비교가 필요하니 8월실적과 9월계획 섹션을 넣어줍니다. (Phase가 느린 산업의 경우 전월대비가 아닌 전년대비 자료를 작성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월 혹은 전년에 비해 얼마자 증가/감소했는지를 보기 위해 증감율을 넣어주고, 당초에 계획했던것에 비해 얼마나 달성했는지를 보기 위해 달성율도 넣어줍니다.
증감율이 10%란 말은 전월에 비해 당월에 10% 증가했다는 말이고, -10%란 말은 전월 대비 당월에 10% 감소했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달성률은 목표를 완전히 달성했을때 100%로 표시하고, 100%보다 작을 겨우 목표 미달, 100% 클 경우 목표 초과를 뜻합니다. 이 구분이 아마 보통 기획팀 분들이 사용하시는 표 구분일거에요.
▫
그렇다면 이걸 영어로 작성하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Unit: KRW)
Particular | Actual(Aug) | Actual(Sep) | Budget(Sep) | Variance | Achievement |
Revenue | 5,000 | 5,500 | 5300 | 10% | 104% |
Operating income | 30 | 37 | 35 | 23% | 106% |
Net income | 10 | 9 | 13 | -10 | 69% |
먼저 실적분석은 Performance review 혹은 Performance analysis라는 단어를 씁니다. Review와 Analysis 둘 다 자주 쓰이는 말이고, 이 단어들은 자기소개서에도 작성 가능합니다. "월별손익분석"이라고 쓰고싶으면 Monthly performance analysis라고 쓰면 됩니다.
단위는 영어로 Unit이라고 합니다. (표 오른쪽 상단에 있어요) Unit 다음에는 KRW, USD, JPY, CNY, MYR, PHP 등 알맞는 화폐단위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실적은 Actual, 계획은 Budget이라고 합니다. 사업계획은 Business plan이라고도 하는데, 표에서는 Budget이라고 많이 쓰는 것 같아요. (이부분은 회사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어쨌든 경비 등 예산 계획이 나와야 전체 사업계획을 짤 수 있기 때문에 두 단어를 혼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증감율은 Variance라고 씁니다. Inc/Dec라는 표현으로 쓸때도 있구요. 원래 Variance의 뜻 자체가 통계학에서의 분산을 나타내니 "값이 변동/변화하는 정도"라고 이해하시면 편하실 것 같아요.
Revenue, Operating income, Net income은 손익계산서의 계정과목 중 하나입니다. 제가 예전에 작성했던 포스팅 참조해주세요. 👉 caomeiyun.tistory.com/5
▫
이번에는 Particular 부분을 다른걸로 바꿔볼게요. 제품별 구분, 품목별 구분을 하고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Particular | Actual(Aug) |
A Segment | 500 |
A-1 Product | 300 |
A-2 Product | 200 |
B Segment | 350 |
B-1 Product | 170 |
B-2 Product | 180 |
Other segments | 15 |
큰 분류는 Segment라는 단어를 사용해 묶어줍니다. 그리고 그 밑에 세부적인 것들을 밑으로 넣어주면 됩니다. 과일이 Segment라면, 복숭아는 Segment 밑에 있는 Product겠죠.
이런 제품별구분, 상품별구분, 품목별분류를 영어로는 Product wise 라고 표현합니다. 품목별 매출을 영어로 표현한다면 Product wise revenue가 되겠죠. Revenue by product, Revenue per product 같은 말은 실제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
추가로 다른 의견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주세용! 같이 알아가요 😊
'Accounting101'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mon stock과 Preferred stock의 차이 (0) | 2020.10.14 |
---|---|
ESOP (Employee Stock Ownership Plan) : 종업원주식소유제도 (0) | 2020.10.10 |
Depreciation 과 Amortization (0) | 2020.10.06 |
회계에서의 Sundry debtor 와 Sundry creditor (2) | 2020.10.05 |
Financial Statement (FS) : Profit and loss statement (PL) 간단설명 (0) | 2020.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