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2

위기의 헬릭스미스 과연 유상증자 가능할까? 유상증자 뜻 하는이유

안녕하세요 주식하시는 분들. 며칠전에 핫이슈가 되었던 헬릭스미스와 사모펀드 투자에 대해 들어보셨을까요? ▫️ 헬릭스미스 (구. 바이로메드)는 수요가 아주 높은 신약을 개발한다고 해서 한때 코스닥 시가총액 2위까지 올랐던 종목입니다. 신라젠, 코오롱티슈진 등 바이오 종목이 한참 핫할때 같이 유명했던 종목이지요. 얼마전 헬릭스미스가 고위험펀드에 투자했고 원금의 일부를 회수하지 못할 위험에 처했다고 해서 논란이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그동안 헬릭스미스의 투자 행보가 밝혀져 많은 이들을 경악하게 했지요. ▫️ 헬릭스미스는 외부 투자자들로부터 조달한 자금, 그리고 주가 상승으로 인한 차익 등으로 생긴 자금의 대부분을 연구개발이 아닌 사모펀드 등 고위험상품에 투자하였습니다. 그리고 High risk High retu..

Accounting101 2020.10.23

빅히트 상장으로 보는 IPO와 공모주 청약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카카오게임즈와 빅히트 등 시장에서의 강자들이 줄줄히 IPO를 한다고 해서 큰 화제가 되었었죠. 많은 사람들이 시세차익을 위해 빅히트 공모주청약에 참여했으나 실제 차익은 크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 IPO가 무엇일까요? IPO란 Initial Public Offering 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기업공개라고 합니다. 쉽게 얘기하면 일반인들이 해당 기업에 투자할 수 있게 기업의 재무실적과 상황을 공개하고, 주식시장의 일원으로 나선다는 말입니다. 한국의 경우에는 한국거래소에 공식적으로 상장한다는 의미입니다. 비상장회사에서 상장회사가 되는거겠죠 ▫️ 상장을 하고 나면 주기적으로 제출해야하는 자료도 많아지고 각종 투자자들에 대한 대응도 병행해야해서 사실상 그 기업에 종사..

Accounting101 2020.10.20

RCPS 상환전환우선주의 의미, 계약서내 조건, 각 이해관계자가 갖는 장점

안녕하세요. 오늘은 RCPS 상환전환우선주에 대해 얘기해보려구요. 상환전환우선주는 상환과 전환이 가능한 우선주라는 뜻으로 주식 종류의 일종입니다. 일반인들이 주식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는 종류의 주식은 아니고 법인 대 법인으로 투자를 진행할때 쓰이는 용어입니다. 우선주 (Preferred stock, Preference share) 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시다면 이전에 작성한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 보통주와 우선주에 대해 알아보기 ▫️ RCPS는 Redeemable Convertible Preference Share 의 줄임말입니다. 직역하자면 상환 혹은 전환을 할 수 있는 우선주이죠. 여기서는 편의상 RCPS 발행하는 회사를 피투자법인 (투자받는법인) 이라고 하고 투자하는 회사를 투자법인..

Accounting101 2020.10.17

Common stock과 Preferred stock의 차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Common stock과 Preferred stock 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Common stock은 보통주, Preferred stock은 우선주를 가리킵니다. 주식투자 하시는 분들, 아니면 스타트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이 투자유치할때 관련 단어를 들어보셨을거에요. ▫️ 보통주 Common stock 와 우선주 Preferred stock 는 회사 주식의 한 종류입니다. 보통주는 말그대로 일반적인 평범한 주식이고, 우선주는 보통주에 비해 어떤 상황에 대해 우선하는 주식을 말합니다. 모두 해당 회사에 대한 지분을 가져간다는 점은 동일합니다. 말그대로 주식매매대금을 지불하고 그 회사 주식의 일부를 가져가는 것이지요. 그 회사의 주주가 됨을 의미합니다. ▫️ 차이가 있다면, 보..

Accounting101 2020.10.14

ESOP (Employee Stock Ownership Plan) : 종업원주식소유제도

최근에 상장한 SK바이오팜의 직원들이 줄줄히 퇴사하면서 우리사주제도가 뭔지 찾아보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우리사주제도는 영어로 ESOP이라고 합니다. ESOP은 Employee Stock Ownership Plan의 줄임말로, 종업원주식소유제도 혹은 종업원지주제도의 약자입니다. 한국말로는 우리사주제도라는 용어를 가장 많이 쓰는 것 같아요. 주로 스타트업이나 IPO직전의 기업에서 자주 시행하는 제도로, 회사에 근무중인 직원들에게 자사의 주식을 주는 제도를 말합니다. 일종의 복지혜택이죠. ◽ 한국에서는 이 ESOP 제도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조합의 설립이 필수적입니다. 회사가 직접 개인에게 자사주를 나눠줄 수 없고, 회사가 조합에게 그리고 조합이 조합원들에게 주식을 나눠주어야만 하는 형태입니다. 그러니 자..

Accounting101 2020.10.10

2020년 가을 시즌 커피빈 캠핑아이템 MD

✅ 10월 8일 커피빈X패스트캠프) 원터치 텐트 출시 매장에서 음료 마신 후 36,000원 추가시 구매 가능함 온라인몰에서도 구매 가능 ✅ 10월 14일 캠핑컵 출시 9,000원 매장 및 온라인몰 판매 ✅ 10월 16일 코르크 블루투스 스피커 출시 이벤트 참여시 선착순으로 증정 ✅ 10월 23일 폴딩박스 출시 매장에서 음료 구매 후 11,900원 추가시 구매 가능 온라인몰에서도 구매 가능

Accounting101 2020.10.08

제품별매출, 계획대비실적, 달성률, 증감률, 화폐단위 영어로 표현하기

영어로 표를 만들어야 하는데, 막상 만드려고 하니 숫자보다도 각 항목을 영어로 뭐라고 해야할지 헷갈렸던 분들 계시죠? 그런 분들을 위해 오늘 포스팅을 작성했습니다. ▫ (단위: 원) 구분 8월실적 9월실적 9월계획 증감율 달성율 매출 5,000 5,500 5300 10% 104% 영업이익 30 37 35 23% 106% 당기순이익 10 9 13 -10 69% 예시를 들어볼게요. 9월이 끝나고 10월이 되어서, 이제 9월동안의 실적을 분석해보기로 합니다. 실적을 분석할때는 전월과의 비교, 계획과의 비교가 필요하니 8월실적과 9월계획 섹션을 넣어줍니다. (Phase가 느린 산업의 경우 전월대비가 아닌 전년대비 자료를 작성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월 혹은 전년에 비해 얼마자 증가/감소했는지를 보기 위해 증감..

Accounting101 2020.10.07

Depreciation 과 Amortization

어떤 물건이든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그 물건의 가치는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건물, 기계장치, 설비 등의 자산에 적용되는 이야기입니다. 이때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물건의 가치를 회계학적으로 재무제표에 표시하는데, 이것을 감가상각이라고 합니다. "가치"가 "감소"한다는 의미이지요. Depreciation은 유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이고, Amortization은 무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입니다. ▫ 유형자산은 쉽게 말하면 실체가 있는 물건입니다. 토지, 건물, 기계, 설비, 구축물 등을 가리키죠. 반대로 무형자산은 실체가 없는 자산을 말합니다. 영업권, 특허권, 상표권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은 모두 감가상각을 하지만 몇가지 예외가 있습니다. 토지의 경우에는 그 자체가 가치의 변화가 없기 때문..

Accounting101 2020.10.06

회계에서의 Sundry debtor 와 Sundry creditor

오늘은 Sundry debtor와 Sundry creditor에 대해 알아볼게요. Sundry debtor는 한국어로 직역하면 "잡다한 채무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에는 직접적으로 들어가 있지는 않은 개념이고 업무적으로 가끔 쓰이는 개념이에요. 해당 회사의 Sundry Debtor 내역이라고 하면 그 회사의 매출채권이나 미수금 내역을 달라는 말과 똑같은데요, 각 채무자의 이름과 금액을 표나 List로 나열한 것입니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받은 이후에 아직 Payment를 지불하지 않은 업체의 목록을 말합니다. 직설적으로 설명하면, 회사가 돈을 받아야 할 업체 이름과 금액인거죠. 그래서 자산 Asset의 한 종류라고 보시면 됩니다. ◽ 이 개념은 M&A 실무나 주식 등, 어떤 회사에 대한 재무적..

Accounting101 2020.10.05

Financial Statement (FS) : Profit and loss statement (PL) 간단설명

지난 시간에는 재무제표 FInancial statement의 가장 기본이 되는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에 대해 간단하게 포스팅했었죠. 오늘은 그다음 단계인 손익계산서 Profit and loss statement를 살펴보겠습니다. (BS에 대한 글이 궁금하신 분들은 지난번에 쓴 글을 봐주세요 👉 https://caomeiyun.tistory.com/4 ) ◽ 손익계산서 Profit and loss account는 일정한 기간 동안에 회사가 얼마만큼의 수익을 창출했고 비용을 지출했는지를 보여주는 표입니다. Flow의 개념으로 이해하면 쉬울거에요. PL은 또 다른 말로 Income statement라고도 합니다. ◽ 손익계산서는 크게 매출,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판매관리비, 영업이익, 영업외손익..

Accounting101 2020.10.04
반응형